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집에 침수 걱정된다면? 배수로·창턱·빌트인 옵션 사전 점검 리스트

by 리얼러 2025. 7. 18.

 

장마철이 되면 집안 침수 걱정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심지어 신축 빌트인 설비가 갖춰진 집이라도 “배수로나 방수에 구멍이 있을까?” 불안해지기 마련이죠.

사전 점검만 잘 해도, 막대한 비용 피해와 스트레스를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배수로 청소부터 창턱 방수, 빌트인 옵션 확인까지 생활 속 예비 점검 리스트를 정리해 드립니다.

1. 외부 배수로 점검

우선 집 밖, 마당이나 주차장에 설치된 배수로(홈통, 드레인 라인)를 살펴야 합니다. 잎사귀·모래·쓰레기가 쌓이면 비가 오면 물이 역류하거나 홍수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배수로 덮개를 열고 내부 이물질 제거
  • 물이 잘 흐르는지 청소 후 물을 흘러보내보고 확인
  • 배수관 연결부위와 경사도 이상 여부 체크

2. 창턱·현관 방수 상태 확인

창턱(창문 아래 고임턱)이나 현관 문 틈은 의외로 물이 들어오기 쉬운 약한 부분입니다. 특히 고여 있던 물이 슬며시 스며들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창턱 고임턱 위쪽이 깨지진 않았는지 확인
  • 실리콘이나 방수 코킹 부위 자국 없는지 살펴보세요.
  • 현관 틈새의 고무 패킹 상태와 문틈상태 점검

 

3. 빌트인 배관·하수 설비 확인

아파트나 신축 주택에 설치된 빌트인 세탁기, 싱크대, 욕실 배수 설비는 고장 나지 않았다 하더라도 장마 때 역류하거나 냄새 차단 실패 사례가 많습니다.

  • 싱크대 수전 및 배수관에서 물 역류는 없는지
  • 세탁기 배수 호스 연결 상태와 고정 점검
  • 바닥 배수구 스크린과 트랩 내부 청소
  • 환기팬·세면장 자동 물막이 배수관 체크

4. 선룸·베란다 물막이 확인

테라스, 베란다 유리창이 많은 집은 창문 단열·물막이 고무 패킹 상태 확인이 필수입니다. 고인 물이나 틈새로 빗물이 들어올 수 있으니까요.

  • 레일 위쪽과 아래 창문 윤곽 무늬 확인
  • 물받이 홈이나 빗물 빠지는 배수구 청소
  • 패킹 실리콘 자재 접착면 검사

5. 내부에서 침수 흔적 체크

과거에 침수 경험이 있는 경우, 벽지나 바닥에서 습기·곰팡이·줄무늬 같은 흔적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작은 금 부분이라도 장마 전에 미리 수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벽 가장자리, 모서리, 배관 주변 누수 흔적 탐색
  • 바닥 장판 들뜸이나 눅눅한 자국 확인
  • 찬 공간이라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구역 점검

6. 가구·전기 기기 사전 준비

시험 가구 배치를 해보세요. 외부 벽 쪽에 가구가 너무 가까우면 침수 시 물이 너무 쉽게 스며들 수 있습니다. 또한 아주 가까이 붙으면 전기 콘센트도 위험해질 수 있죠.

  • 가구를 외벽에서 최소 5~10cm 떼어서 배치
  • 침수 시 퓨즈박스/전기 콘센트 방수 커버 설치 고려
  • 스마트 플러그·무선 장비도 습기 노출 여부 점검

7. 중간 의견 (실사용 꿀팁)

제가 실제로 장마 대비하면서 느낀 건, 미리 조금만 점검해도 마음이 훨씬 편해진다는 점이었습니다. 집에 담수 흔적이 없는지, 밀실에서 냄새가 올라오지 않는지 자주 확인하니 불안감이 줄어들었어요.

특히 화장실 물막이 호스와 배수 트랩은 의외로 간과하기 쉬운데, 이 부분만 잘 챙겨도 내부 냄새와 습기를 꽤 줄일 수 있더군요.

8. 침수 발생 시 대응 흐름

  1. 비가 멈췄을 때 최대한 빨리 물길 확보
  2. 청소 및 환기 우선 실시
  3. 바닥·벽지·전기 제품 상태 확인
  4. 심할 경우 전문 건축사·설비 업체 점검 고려

9. 마지막 의견

모든 것이 완벽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제가 추천하는 점검 리스트 중 절반만 챙겨도, 침수로 인한 피해와 스트레스는 훨씬 줄어듭니다. 배수로 청소, 창턱 실리콘 보수, 배수 트랩 상태 세 가지만 해도 유사시 물이 역류해도 피해가 크지 않거든요.

무엇보다 장마철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물때 냄새와 습기에서 자유로워진다는 사실이 정말 큰 보상처럼 느껴졌습니다.

 

 

민생지원금 25만원 마지막 총정리! 신청날짜, 방법, 지급시기 놓치지마세요

정부가 2025년 하반기, 총 13.9조 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민생지원금)을 지급합니다.이번 지원금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소득과 거주 지역, 가구 유형에 따라 1인당 최대 55만 원까지 차

real-solution.kr